본문 바로가기

IT 관련

전기세와 컴고장율을 낮춰주는 C1E 절전기능

출처 : http://blog.daum.net/sale_domain/31

(유용한 정보인 것 같아 퍼왔습니다. 저작권상 문제가 된다면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당신의 컴퓨터는 절전모드가 작동중인가?
강화된 전력관리 Enhanced Halt State (C1E)

전기세와 컴고장율을 낮춰주는 C1E 절전기능






여러분의 컴퓨터에 장착된 CPU는 대부분 인텔 이나 AMD의 제품일 것이다.
이 CPU들은 년식이 좀 오래된 것을 제외하곤 대게 절전기능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이 기능은 저절로 작동하는 것이 아니어서 사용자가 적절한 설정을 해주어야만 작동
을 하게 되어 있다.
노트북의 경우에는 밧데리 사용시간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대부분 공장 출고 때부터 절전
기능이 작동하도록 설정되어 있지만, 데스크탑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더 많다.
똑똑한 CPU와 메인보드가 만들어질 당시 갖추고 있는 절전기능이 사용자의 무관심에 의해
제대로 활용되지 않는다면 이는 매우 애석한 일이다.

"그까짓 전기세 얼마나 차이 난다고...귀찮고... 전기 좀더 먹어도 빠르고, 말썽없는게 좋아"
이렇게 말씀하시는 분들은 오늘 귀찮더라도 이글을 끝까지 살펴보시기 바란다.
절전기능을 작동시킨 다해서 느려지는 것을 느끼기는 힘들며 컴퓨터가 말썽부리는 경우는
오히려 줄어들기 때문이다.

비슷한 조건에서 전기를 더 많이 먹는다는 것은 그만큼 기계에 열도 많이 나고 CPU 부분과
전원부에 많은 부담을 안겨주며, 환기팬의 요란한 소음까지 동반하게 된다.
결론은 전원부, 환기팬, 메인보드, 시피유의 수명단축과 오작동(특히 여름철) 발생이다.




자 그러면 지금 나의 컴퓨터는 절전기능이 작동하고 있는지 확인해 보자.
절전기능은 CPU와 메인보드에서 그 기능을 갖추고 있어야 가능해 진다. (구식제품은 기능이 없음)
필자는 CPU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CPUZ을 이용하여 확인하고 있으며. (까페 자료실에 있음)
비슷한 다른 종류의 유틸을 이용해도 상관은 없다.

CPUZ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있다.
현재 사진은 절전기능이 작동중이며, 컴퓨터는 아무런 작업을 하지 않고 있는 대기상태의 사진으로
CPU규격을 한참 밑도는 클럭(코어속도)을 보이고 있다. (컴부품의 종류에 따라 표시내용이 달라짐.)


여러 항목 중 중요한 부분은 코어전압과 코어속도 이다.
만일, 절전기능이 없거나 꺼져있는 경우에는 코어전압과 코어속도는 항상 일정한 값을 유지한다.
반면에 절전기능이 작동하는 경우는 컴퓨터 작업량에 따라 변하게 될 것이다.


동영상 재생하며 확인
아래사진은 1080p의 풀HD 고화질 영상을 재생한 경우이다.
동영상 작업을 개시하자 코어전압과 클럭의 수치가 올라갔다 (실제는 오르락내리락 변한다.)

가능한 HD급 이상의 고화질 영상을 재생시켜 확인해 보시라.
자신의 컴퓨터가 위와 마찬가지로 CPU전압과 클럭이 변화되는 것을 보셨다면 다행히
정상적인 절전기능을 수행하는 상태이므로 더 이상 이 글의 아래내용은 보실 필요가 없다.




<CPU에 항상 높은 전압과 클럭이 공급되고 있다. / 절전기능무>

위는 절전기능이 작동되지 않는 사진으로 CPU의 규격치에 근접한 전압과 클럭이 계속 공급되고
있으며, 작업량에 관계없이 이 값은 변하지 않고 항상 일정한 상태를 유지한다.
만일. 여러분의 컴퓨터가 이러한 상태라면 다음내용에 따라 정검해 보도록 하자.





간단한 정검으로 해결해보자

0. 먼저 오버클럭 이용시는 절전기능을 맘편히 이용하기가 힘들므로 제외된다.
   (DES (Dynamic Energy Saver) 기능이 탑재된 메인보드 사용자나
 상당한 수준의 오버클럭 
   메니아 라면 상황이 달라진다.)


XP사용자
1. XP사용자는 제어판의 
전원 옵션의 전원 구성표(O) 에서 최소 전원 관리를 선택한 후 '적용' 
    -> '확인'을 눌러준다.
   (XP에서 절전기능을 이용하려면 최소 전원 관리나 프레젠테이션으로 지정해 주어야 하며 절전 
   기능을 중지할 때는 가정용/사무실용 또는 항상 켜기를 선택하면 된다)

2. CPUZ을 실행하여 절전기능 작동 여부를 확인한다.



윈도우7 사용자

1.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윈7은 XP보다 원활한 절전기능을 수행할 것이다.
   그러나 원하는 상태가 아니라면 제어판->전원 옵션->기본 전원 관리 옵션의 3가지 항목 중
   절전을 선택한다.

2. 전원옵션->고급설정(절전)에서 프로세서 전원 관리탭을 클릭한 후 최소 프로세서 상태를
    5%, 최대 프로세서 상태를 100%로 설정한다.

3. CPUZ을 실행하여 절전기능 작동 여부를 확인한다.



위 방법으로 않된다면
위 작업 후에도 아무런 변화가 없다면 자신의 컴퓨터는 절전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사양이거나, 
절전기능과 관련된 초기작업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때는 먼저 사용하는 CPU와 메인보드의 규격에서 절전기능지원 유,무를 확인하고 가능한 제품이
라면 다음순서로 넘어간다.
CPU의 절전기능 유,무는 시스템 분석프로그램 에베레스트를 이용하여 간단히 확인이 가능하다.
(에베레스트가 없는 분은 자료실에서 다운받아 설치해두면 여러모로 유용할 때가 많다.)
아래 사진은 에베레스트가 CPU에 절전기능이 있는지 작동은 하는지를 알려주는 그림이다.
좌측창에서 
CPUID를 클릭하고 우측창의 Enhanced Halt State (C1E) 항목을 살펴보면 된다.
사진에는 절전기능이 있으며 현재 사용 중이라는 값을 나타내고 있다.


위의 사진과 달리 (C1E) 필드 값에 '지원안됨'으로 표시되어 있다면 안타깝지만 절전기능을 기대할
수 없는 시스템 환경에 속한다.
'지원됨'으로 표시되나 CPUZ으로 확인시 정상적이지 못하다면 다음항목을 체크해 보자.
(아래 단계를 모두 확인할 필요는 없다. 한단계 거친 후 절전기능이 잘 작동한다면 그다음은 생략하라)

1. CMOS SETUP에서 
Enhanced Halt State (C1E) 항목이 활성화 되어있는가?.
    (메인보드에 따라 명칭이 다를 수 있으므로 "
C1E"로 찾아본다.)

2. XP의 경우는 MS에서 제공하는 서비스팩3 설치를 권장하며, 최신 업데이트를 내려받는다.

3. OS가 XP이고 AMD CPU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링크에서 드라이버를 다운받아 설치한다.
    
 AMD Cool'n WinXP32,64

 (주의:윈7 사용자 또는 인텔 CPU는 연관없음)

4. 위 항목을 검토해 보아도 해결이 안된다면 C-MOS SETUP을 초기화한 후 새로 설정한다.
   간혹, 메인보드상의 오류로 절전기능이 정상적이지 못한 경우에 초기화 후 해결되는 경우가 있다.
   단, 이 작업은 C-MOS SETUP에 익숙한 상급자에게만 권한다. (초보자는 낭패볼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