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관련

KT 인터넷 접속 PC 대수 제한 해결방법 1 (일반공유기 사용자편)


출처 : http://blog.daum.net/sale_domain/31

(유용한 정보인 것 같아 퍼왔습니다. 저작권상 문제가 된다면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KT 인터넷 접속 PC 대수 제한 해결방법
 (일반공유기 사용자편)

KT 인터넷 접속 추가단말 서비스 제한 해결방법3 - 완결

긴가 민가 했던 일들이 자꾸만 현실로 다가옵니다.
오늘 KT 회선 사용하시는 인터넷 이용자중 한회선에 여러대의 컴퓨터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아래 사진의 화면을 보셨을 겁니다.


종전부터 KT의 경고가 있었지만 설마 그렇게 무모한 짓을 실행할까 했는데 일단은 저질렀군요 KT가.
나중에 접더라도? 일단은 저지르고 보자는 그런? 느낌을 받았는데요 여러분은 어떠하신지요?
(지역에 따라선 시행시기의 차이가 있는 것 같습니다)

유선공유만 제한?
유,무선 공유기의 경우 무선쪽을 통해 할당된 접속은 아무런 제약을 받지 않으나, 유선접속은 2대
까지만 허용하고 3번째 접속된 기기는 익스플로러가 먹통되며 경고창이 뜹니다. (12월30일 현재)
여관, 학원등 피시와 공유기를 영업에 활용하는 곳에선 한시가 급한 상황이라 KT의 전략이 좀 먹혀
들 것 같습니다.
또한, TCP를 이용한 80번 포트만 제약을 두어 80번포트를 이용하지 않는 접속은 지장이 없습니다.
예를 들면 FTP접속(21번)등은 정상작동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KT가 맘만 먹으면 언제든 모든 포트를 막아버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큰 문제가 없다 하더라도 아래 해결방법을 실행해 주시는 것이 편할 것 같습니다.

현재 무선공유쪽은 해당없다는 내용은 필자가 직접 실험해본 사항이 아니며 웹상의 정보를 인용한
것입니다. (노트북은 달랑 하나밖에 없어...) 여러 대의 노트북을 소지하신 분은 한번 확인해 보시
구요, 잘못된 정보라면 댓글 남겨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해결책1 일반공유기 사용자  (여기서는 ipTIME 공유기를 예로 설명합니다)

별거 아닙니다.
아주 구닥다리 공유기만 아니라면 KT의 전략을 무용지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아래 설명대로 공유기의 설정을 변경해 주시면 됩니다. (아래부턴 말투가 좀 건방져두 양해를...)


1. 준비할 것

(가). 공유기 접속 아이디와 비밀번호

(나). 현재 접속중인 외부 아이피 주소
       (여기서부터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 하시는 분은 능숙한 타인의 도움을 받으세요)


2. 외부 아이피 확인
      아래 둘 중 아무거나 클릭만 하면 됨 / 클릭 후 주소를 적어둔다
      외부 아이피 간편확인 1 : 
http://ifconfig.me/
      외부 아이피 간편확인 2 : 
http://must.or.kr/ko/service/myip/ 


3. 공유기 환경설정

(가). 사용하는 공유기 설명서를 참고하여 환경설정 메뉴에 진입한다.
       (보통 192.168.0.1 등의 숫자를 주소창에 넣어주면 메뉴에 접근한다.)

(나)ipTIME의 경우 메뉴탐색창의 고급설정 -> 보안기능 -> 인터넷 사용제한을 차례로 클릭하면
       아래 사진과 같은 화면을 만날 수 있다.



(다). 우측 창의 설정값을 아래설명을 참고 하여 각각 기입한다. (첫 번째 규칙값을 설정함)

#. 입력방법선택 : 사용자 고급설정 선택

#. 규칙이름 : 적당한 이름작성 (필자는 KT-1 이라고 넣어줌)

#. 방향 : 내부->외부 선택

#. 시작지 IP 주소 : 현재 사용중인 내부IP주소 범위를 기입함
   내부 IP의 확인은 시작-> 실행창에 "CMD" 엔터 치면 커멘더 창이 열린다.
   거기에 "IPCONFIG" 엔터후 IP Address 항목을 살펴보면 된다
   대부분 192.168....로 시작하는 경우가 많다. 자신에 해당되는 숫자를 넣고 맨 뒤 4번째 자리수만 달리
   하여 위에처럼 "2"와 255"를 넣어주면 무난하다. (위의 경우는 IP Address가 192.168.0.* 의 경우)
 (타자는 너무 치기 싫다 하시는 분은 다음 검색창에 "IP2"를 입력하여 유틸을 다운받아서 내,외부 IP를 신나게 확인 하시라)

#. 시작지 MAC 주소
 : 통과

#. 목적지 IP 주소 : 위의 사진에는 상당히 넓은 범위의 값이 입력되어 있는데, 일단 무시하고
    앞서 확인했던 외부 IP주소를 기입하는데, 맨 뒤 4번째 자리만 달리하여 채워준다.
    예를 들면 외부 IP가 61.78.15.174  였다면 [ 61 ] [ 78 ] [ 15 ] [ 
1 ]  ~  [ 61 ] [ 78 ] 
    [ 15 ] [ 
255 ] 가 된다.
    
(가정의 경우 유동 IP라서 때때로 이 주소가 변경되면 재작업이 필요하다 / 밑에 보충설명 / 일단 통과)

#. 프로토콜 : 통과 (타사 제품의 경우 ANY 또는 ALL 항목 선택)

#. 목적지 포트 : 통과

#. 허용/차단 : 차단

#. 우선순위 : 통과

(라). 입력을 마쳤으면 우선순위 아래에 추가보턴을 눌러주면 하단 규칙이름 부분에 적용된 항목이 나타
       난다. 이것으로 첫 번째 규칙설정이 완료되었다.
     
(마).  이번엔 아래 사진을 참고 하여 두 번째 규칙(외부->내부)값을 넣어준다.
       앞서 작업한 (다) 항목과 다른점은 규칙이름을 KT-2로 했으며 방향값이 외부->내부로 바뀌었을 
       뿐 나머지는 동일하다.

 

 역시 다입력 했으면 추가버튼을 눌러준다.
 두 번째 규칙이 적용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KT-1(내부->외부)과 KT-2(외부->내부) 두 가지 규칙이 적용되었다.
내부->외부 한가지 규칙만 넣어주어도 해결이 되지만 추후 KT측의 새로운 전략에 미리 대비하기 위하여 두 가지 규칙을 한쌍으로 하여 입력하였다.
이제 맨위 우측의  을 클릭하여 작업(1차)을 완료하였다.
동시에 여러대의 컴퓨터를 가동하여 인터넷 접속을 확인한다.
공유기 모델에 따라 새로 켜주어야 되는 경우도 있다.


4. 2차 작업의 필요성 (보충설명)
위의 방법은 공유기에서 지원하는 보안기능을 이용하여 연결된 컴퓨터 정보를 밖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다
즉, 우리집에서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의 특정 정보를 KT망에서 훔쳐보지 못하도록 막아 버리는 것이다.

그러나, 주택의 인터넷망은 유동IP 이므로 시간이 지나면 위에서 설정한 목적지 IP주소가 맞지 않아 또다
시 접속차단이 될 수 있다.
다소 번거롭지만 보통 1~2차례 재작업을 해주면 1년이상(보통 수년간) 문제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외부 IP주소의 맨 뒷자리 (123.123.123.
123 )만 변경되면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가끔식은 세 번째, 두 번
째 자리까지 바뀌기도 하므로 그때 접속차단 메시지가 뜨면 바뀐 외부 IP주소를 확인하여 재작업을 해주면
된다. 1~2번만 하면 끝나는 이유는 유동 IP일지라도 동일 지역에서 보통 2~3종류의 IP체계로 번갈아 가며
바뀌기 때문이다. 
즉, 바뀐 IP주소를 새로운 규칙으로 추가해 주면(1~2번만) 다음부터 머리아픈 일은 없다.

추가작업은 이미 한번 해보았으니 더 쉽게 끝낼 수 있다.
    
㉠. 외부 아이피 확인 (위와 동일)
        위 둘중 아무거나 클릭만 하면 됨 / 클릭 후 주소를 적어둔다
        외부 아이피 간편확인 1 : 
http://ifconfig.me/
        외부 아이피 간편확인 2 : 
http://must.or.kr/ko/service/myip/

 

    ㉡. 위 3.공유기 환경설정의 (가) (나) 항목 실행

    
㉢. 이미 들어있는 KT-1, KT-2 규칙은 건들지 말고 새로운 규칙명으로(예:KT-3, KT-4) 위 3번의 
        (다)~(마) 작업실행

    
㉣. 이제 앞서 들어있던 2개의 규칙에 새로 추가한 규칙이 더해져 총 4개의 규칙이 만들어 졌을 것이다.
그리고 맨위 우측의  을 눌러주면 끝난다.
만일, 또다시 차단되는 일이 발생한다면 변경된 IP주소를 목적지 IP 주소로 하여 두 개의 규칙을 새로 만
들어 6개 정도의 규칙이 입력되면 더 이상의 재작업은 필요치 않을 것이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만일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의 유동 IP 주소에 대해 자세히 알고 있다면 두세 번에 나누어 작업을 해줄 필
요가 없다.
위에 사진과 같이 목적지 IP주소를 61.78.0.1 ~ 61.81.255.255 처럼 넓은 범위로 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필자의 경우 수시로 IP주소를 체크하던 버릇이 있어, 이곳의 IP는 변하더라도 저 범위 안에 있다는 것을 
알고 저렇게 입력한 것이다. (장,단점은 있습니다)


단번에
유동 IP의 변동 범위를 단시간에 파악하여 단 한번의 작업으로 해결할 수도 있다.
그러나 여기서 그것까지 공개하진 않겠다.
특별한 지식도 아니지만, 영세업자들의 생계에 지장을 초래하기 곤란한점을 양해 하시라.
학원이나 여관등 업소의 경우에는 단 한번의 작업으로 마무리가 필요할 것이다.
가정과 달리 단 몇분, 몇시간의 접속중단도 매우 난처한 영업장이기 때문에...
그런 업소는 컴퓨터 전문점의 도움으로 해결하시라.
왜, 학원이나 여관 사장님 보다는 컴퓨터 업자들의 주머니가 애처롭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