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관련

KT 인터넷 접속 PC 대수 제한 해결방법 2 (KT 쿡허브 사용자편)


출처 : http://blog.daum.net/sale_domain/31

(유용한 정보인 것 같아 퍼왔습니다. 저작권상 문제가 된다면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KT 인터넷 접속 PC 대수 제한 해결방법 2
 (KT 쿡허브 사용자편)

KT 인터넷 접속 추가단말 서비스 제한 해결방법 2





KT의 접속 PC 대수 제한을 공략하기 오늘 그 두 번째로 KT 쿡허브 작업방법입니다.
적용모델은 아래 사진의 제품으로 모델명 CN01-005H 입니다.


먼저 이 쿡허브란 독특한 물건의 속살을 살짝 들여다 본 뒤 본론으로 가겠습니다.
쿡허브는 보급형 유,무선 공유기 기능에 특수한 기능을 첨가한 제품입니다.
단점으론 메모리 용량이 넉넉치 않아 일반적인 인터넷 사용자는 큰 문제가 없지만 P2P 이용자나 
동시에 많은(수십개 이상) 익스플로러 창을 띄우는 등의 작업자에겐 적합하지 않습니다.
(P2P를 마음껏 돌리기 위해선 적어도 16MB이상의 메모리를 갖춘 공유기를 권장함)

장점으로는 브릿지모드를 이용한 IP 할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일반 공유기에는 없는 기능)
이 브릿지모드 IP 할당이란, 인터넷 회선은 1개 뿐이지만 쿡허브에서 여러 개의 IP를 당겨와서 연결된
PC마다 각기 다른 IP주소를 부여해주는 것입니다. (외부IP)
쉽게 말해 인터넷회선을 여러개 들여놓은 효과처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쿡허브는 4대의 PC까지 이기능을 지원합니다.
(한집에서 여러 대의 컴퓨터로 동일 게임 서버에 접속할 때 거부반응 해소 또는 감소)

KT 인터넷 접속 대수 제한도 브릿지 모드에서는 먹혀 들지 않습니다.
컴퓨터 마다 각기 다른 외부 IP를 할당받으니 연결된 기기가 1대 라고 인식하는 것이지요.
단, 브릿지 모드 사용시는 내부 네트워크 기능은 정상적인 작동을 보증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같은 공유기에 연결된 컴퓨터라도 파일을 주고받거나 IPX/SPX 게임등은 불안정합니다.


그럼 본론으로 들어가서...
쿡허브는 일반 공유기와 달리 내부환경설정 메뉴의
1. 보안기능을 이용한 해결방법. (전편의 일반 공유기 설정과 유사함)
2. 위에 언급된 브릿지모드를 이용한 해결방법.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먼저, 보안기능을 활용한 해결법을 설명합니다.


해결책2-1 쿡허브-보안기능 가동

1. 쿡허브 접속
관리자 계정 모드로 접속한다. (일반사용자 계정으로 접속하면 해당 메뉴가 나타나지 않음)
초기 공장 셋팅값은 아래와 같다.

구분

관리자 계정

일반사용자 계정

접속주소 1

http://172.30.1.254:8899

http://172.30.1.254

접속주소 2

http://10.0.0.2:8899

http://10.0.0.2

아이디

ktroot

ktuser

비밀번호

nespot

megaap

(접속주소는 1, 2 중 아무거나 연결 가능한 것을 사용)
 
2. 접속 불가면
 : 만일, 비밀번호분실등으로 접근이 불가능할 경우는 쿡허브 뒷면의 초기화 보턴을
   수초간 눌러 리셋-재부팅 시킨 후 다시 접속한다.
가능하면 비밀번호를 확인하여 정상접속을 하고, 초기화는 신중히 실시하여야 한다.
공장 출고상태 대로 사용되던 환경이면 별문제가 없지만 복잡한 설정을 심어둔 상태라면 초기화
와 동시에 현재 쿡허브에 입력된 내용은 모두 삭제되어 엄청난 노가다의 수모를 격게된다.



3. 관리자계정 로그인 -> 장치설정 -> 보안기능 순서로 접근하여 패킷필터설정을 클릭하면
   위와 같은 화면을 볼 수있다.






4. 위 사진을 참고 하여 해당란을 채운다.

#. 소스 IP 주소 : 내부 IP 주소 범위를 입력한다.(전편에 소개한 내,외부 IP 확인 방법참고)
    쿡허브는 출고시 172.30.1.* 으로 주로 셋팅된다. 앞 세자리가 같으면 위 사진처럼 입력하고 틀리면
    자신에 해당되는 숫자를 넣고 맨 뒤 4번째 자리수만 달리하여 위에처럼 "1"과 254"를 넣어주면 된다

#. 소스 포트 : 통과

#. 목적지 IP 주소 : 외부 IP 주소 범위를 입력한다. 
    외부 IP주소를 기입하는데, 맨 뒤 4번째 자리만 달리하여 채워준다.
    예를 들면 외부 IP가 61.78.15.174  였다면 61.78.15.
1 ~ 61.78.15.254 가 된다.
    
(가정의 경우 유동 IP라서 때때로 이 주소가 변경되면 재작업이 필요하다 / 전편의 보충설명 참고)
    

#. 목적지 포트 : 통과

#. 프로토콜 : ALL 선택
    
#. 허용/차단 : 차단


5. 각 항목을 입력 후 
  추가   를 눌러주면 입력한 설정값을 담은 리스트가 하단에 나타 나게 된다.
   필요에 따라 목적지 IP주소를 달리한 다른 설정값을 추가한다.
전편의 보충설명 참고

6. 작업을 마쳤으면 입력한 내용이 쿡허브에 정상적으로 기록되었는지 확인을 위해, 좌측편의  새로
   고침을 클릭하여 입력 내용 존재상태를 확인 후 쿡허브 접속을 종료한다.

7. 동시에 여러 대의 컴퓨터를 가동하여 인터넷 접속을 확인한다.




해결책2-2 쿡허브-브릿지 모드 가동

브릿지 모드를 실행하기 전에 쿡허브 환경설정 값을 기록해두라.
만일, 원래상태로 되돌려야 할 경우 심대한 노가다를 원치 않는다면 필수조건이다.
모든 메뉴를 클릭하여 현재 입력되어진 값을 기록해 둘 것을 권한다.
그 이유는, 브릿지모드를 가동한 후에는 공유기+허브의 원래기능은 중지되고 전혀 다른 모드로 작동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서는(무선랜, 인터넷전화, IP-TV등) 사용불가 판정이 나올 수 있다.
또한 
브릿지 모드 실행 후는 쿡허브에 접근이 불가능해진다.
관리자 계정과 일반사용자 계정 모두 차단된다.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은 오직 쿡허브 뒷면의 초기화를 눌러주는 길 뿐이다.
즉, 실행한 후 되돌리려면 쿡허브를 공장 출고상태 대로 만드는 길 뿐이다.
따라서 브릿지 모드를 실행 하기 전에 쿡허브의 현재 설정값을 꼼꼼히 기록해 두시길 다시한번 권한다.



1. 위 2-1의 내용을 참고하여 관리자 계정으로 쿡허브에 접속한다.


2. 간편개통 설정탭에서 브릿지모드에 체크를 해준 뒤 적용을 클릭한다.
   
(서론은 길고 본론은 무지 간단하다)



3. 잠시후 쿡허브가 새로 부팅 되면, 쿡허브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를 가동하여 인터넷 접속을
   확인하고, 각기 다른 외부 아이피를 부여 받았는지 확인한다.


4. 일부 기기만 작동하고 나머지는 IP를 부여받지 못해 작동하지 않는 기기가 있다면 사용 중
   인 모뎀에 적용된 맥어드레스 허용개수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럴 때는 KT측에 전화를 하여 맥어드레스를 몇 개 더 풀어 달라고 요청하면 된다.
   요즘은 인터넷을 지원하는 기기가 다양하게 가정에 보급되어(전화,TY,게임기등) 보통 4~5개
   정도까지 맥어드레스를 허용하고 있으니 당당하게 요구할 수 있다.
   (전화해서 설마 쿡허브를 브릿지모드로 사용하기 위함이라고 말씀하진 않으시리라...)


끝맺음
KT의 접속 대수 제한을 피할 수 있는 몇가지 방법을 알려 드렸습니다.
글재주가 부족하여...잘못된 설명이 있거나 이해 안되는 부분이 있으시면 댓글 남겨 주십시오
그럼 넉넉한 인터넷 생활이 되시길 바라며...